2006.05.09
현재의 요르단 왕국은 성경에 요단 동편 지역으로 언급되는 곳으로, 주요한 네 개의 강을 경계로 몇 개의 지역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최북단은 골란(바산) 고원 지역으로 갈릴리 바다 남단 동쪽에 위치한 야르묵 강의 북쪽을 말하며, 야르묵 강에서 아르논 강까지는 길르앗 산지로 구분된다.
아르논 강의 남쪽 지역은 세렛 강을 경계로 북쪽의 모압과 남쪽의 에돔이 위치해 있으며, 또한 길르앗 산지의 얍복 강과 아르논 강의 동부는 암몬의 지역이다.
바산 골란고원 지역
길르앗 산지 지역
얍복 강을 경계로 상부 길르앗과 하부 길르앗 지역이 구분된다(수12:2,5).
지형이 대체로 높고, 나무들이 많아 유향으로 유명하다(렘22:6, 신3:12, 삼하18:8, 렘8:22, 46:11). 강석회암으로 형성된 산지로, 특히 얍복 강과 같은 계곡은 붉은 사암 층이 만들어낸 깊은 협곡으로 브누엘, 마하나임, 숙곳을 통하여 요단 강으로 내려온다. 높은 지역은 해발 1,000m가 넘으므로 일반적으로 '고원' 또는 '산지' 로 부른다. 출애굽 시대에는 '아모리 족속의 땅' 으로 불렸으며, 이스라엘에 정복당한 후, 갓 지파와 르우벤 지파에게 분배되었다(수13:15-28).
암몬 지역
일반적으로 암몬의 서쪽 경계는 요단 강이고, 동쪽 경계는 시리아 사막, 남쪽 경계는 아르논 강, 북쪽은 얍복 강으로 본다. 출애굽한 이스라엘이 이 땅을 차지하고 난 뒤에 아르논 강으로부터 사해의 북단 끝까지는 르우벤 지파(수13:15-23), 사해 북단으로부터 얍복 강까지는 갓 지파(수13:24-28), 이 두 지파가 과거 암몬 족속의 땅을 대부분 분배 받는다. 그때 암몬 족속은 현재의 요르단의 수도 암만, 즉 랍바를 중심으로 동편의 땅 일부를 차지하고 남게된다. 성경에서는 길르앗 지역과 암몬 지역의 경계가 선명하지 않으며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다.
모압 지역
모압 지역의 경계는 서쪽은 사해, 동쪽은 사막지대, 남쪽은 세렛 강, 북쪽은 아르논 강이나, 성경은 종종 모압 북쪽의 여리고 맞은편 평지를 일컬어 '모압 평지' 라고 부른다(민21:12-14, 20, 22:1, 수13:32). 산지는 주로 해발 900m 이상 되는데, 이러한 고산 지대는 겨울철에 풍부한 습기로 인해 포도와 농사에도 적절할 뿐만 아니라, 좋은 목초지를 형성하여 목축에도 적합한 곳이다. 이러한 모압 땅의 환경으로 인해 모압왕 메사는 양을 치는 자로, 모압의 조공은 해마다 새끼양 털 10만과 수양의 털 10만을 이스라엘의 아합 왕에게 바쳤다(왕하3:4).
에돔 지역
에돔은 '붉다'는 뜻이며, 붉은 빛을 띠는 누비안 사암으로 형성되어 있다(창25:25, 36:8-9). 북쪽 경계는 세렛 강, 동쪽은 요르단 사막, 남쪽은 홍해, 서쪽은 아라바로 주로 아라바 동쪽에 위치한 이 지역을 일컬어 '에돔땅' 이라고 부른다. 성경에 '세일', '에돔', 또는 '에서의 산지'라고 일컬었다(창36:8, 신2:15, 대하20:23). 에돔 산지의 융기로, 높은 고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쪽보다 남쪽이 750m 이상 더 높은데, '페트라' 근처의 '호르산'은 1,450m이나 아카바 동쪽의 '알히스마산'은 그 높이가 1,800m 이상 된다. 이러한 요새와 같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에돔 지역은 자주 도피처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고원 지역은 아주 널따란 초지를 형성하여 목축에 적합하다.
-
(영상설교) 십자가에 달려서
벧전 2:21-22
설교 : 휘선 박윤식 목사
일시 : 2025-04-06
-
메시아적 왕으로서 영광의 입...
2025-04-11
-
그 행하는 일에 복을 받으리라...
2025-04-11
-
2025년 4월 둘째 주 주보
2025-04-11
-
(영상설교) 십자가에 달려서
2025-04-11
-
2025년 4월 둘째 주 주보
2025-04-11
- 2025년 4월 첫째 주 주보 2025-04-04
- 2025년 3월 다섯째 주 주보 2025-03-28
- 2025년 3월 넷째 주 주보 2025-03-21
-
샬롬 핸드벨 콰이어 - Blessed Assurance
샬롬 핸드벨 콰이어
2025-01-23
-
'말씀의 일생' 휘선 박윤식 목사의 생애와 목회 발자취
'말씀의 일생' 휘선 박윤식 목사의 생애와 목회 발자취